한울지식융합학회

한국의 장애인 의무고용 정책 분석: 현황, 문제점 및 개선방안

Analysis of Disability Employment Quota Policy in South Korea: Current Status, Issues, and Improvement Strategies
레포트114
  •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장애인 의무고용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장애인 고용 통계와 관련 법률을 검토한 결과, 현행 정책은 경증 장애인, 남성 장애인, 단순노무직 중심의 편향된 고용 구조를 보이며, 중증 장애인과 여성 장애인의 고용에 있어 심각한 차별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 인식 개선 교육 의무화, 장애 단계별 고용 정책 도입, 고용차별에 대한 실질적 손해배상제도 마련 등을 핵심 개선과제로 제안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disability employment quota policy in South Korea and proposes improvement strategies. By examining disability employment statistics and related laws, the research reveals a biased employment structure focusing on mild disabilities, male workers, and simple labor jobs, and identifies significant discrimination against severe disabilities and female workers. The study suggests key improvement tasks such as mandatory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ntroduction of employment policies by disability levels, and establishing practical damage compensation systems for employment discrimination.
  •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장애인 고용 현황
    2. 우리나라 장애인 의무고용제도
    3. 장애인 고용정책의 문제점
    4. 전망과 과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 키워드

    • # 장애인 의무고용
    • # 고용차별
    • # 장애인 고용정책
    • # 직업재활
    • # 사회통합
  • 참고자료

  • 해당 학술지 정보는 원문을 재가공하여 기재되었으며, 원문의 내용과 상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