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울지식융합학회

지역사회 보건간호의 이론과 실제: 건강증진과 문화적 다양성을 중심으로

Theory and Practice of Community Health Nursing: Focusing on Health Promotion and Cultural Diversity
이니미니
  •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 보건간호의 포괄적인 이해를 위해 건강의 개념, 보건의료체계, 건강결정요인, 건강형평성 등 다양한 측면을 분석하였다. WHO의 건강 정의와 알마아타 선언을 기반으로 일차보건의료의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지역사회 간호사정 및 간호과정을 체계적으로 탐구하였다. 특히 다문화사회에서 문화적 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취약가족에 대한 간호중재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보건간호의 이론적 기반과 실천적 접근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건강증진과 사회적 형평성 달성을 위한 간호의 역할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various aspects of community health nursing, including the concept of health, healthcare systems, health determinants, and health equity. Based on WHO's health definition and the Alma-Ata Declaration, it re-examined the importance of primary healthcare and systematically explored community nursing assessment and nursing processes. Particularly, it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competence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presented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vulnerable families. The study comprehensively review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practical approach of community health nursing, seeking the role of nursing in achieving health promotion and social equity.
  • 목차

    Ⅰ. 지역사회 보건간호의 정의
    - 건강의 개념 (보건의료, WHO)
    - 간호문헌에 나타난 건강의 개념 (개인, 가족, 지역사회에 초점)
    - 적정 기능수준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공중보건

    Ⅱ. 지역사회 보건간호의 정의&역사
    - 지역사회보건
    - 보건간호의 정의
    - 지역사회보건간호의 정의
    -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
    - 외국의 지역사회보건간호의 역사

    Ⅲ. 지역사회 보건간호의 역사&알마아타 선언

    Ⅳ. 공공보건기관 & 진료비 지불제도(Payment system)

    Ⅴ. 보건의료체계 & 의료보장제도
    - 프라이(Fry)에 의한 보건의료체계 유형별 장단점
    - 의료보장제도 (국가보건서비스형, 사회보험형, 공공부조형)
    - 우리나라의 의료보장제도 (국만건강보험제도, 의료급여제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Ⅵ. Global health

    Ⅶ. 지역사회의 이해
    - 지역사회의 정의
    - 지역사회의 분류
    - 지역사회의 기능
    - 지역사회의 특성
    - 건강한 지역사회의 특성
    - 임상간호와 지역사회간호의 의미

    Ⅷ. 지역사회 간호사정의 자료수집 & SWAT 분석

    Ⅸ. 오마하(Omaha) 문제분류체계&간호진단의 우선순위 결정
    - 오마하 문제분류체계
    - 간호진단의 우선순위 결정

    Ⅹ. 지역사회 간호계획&간호수행&간호평가

    Ⅺ. 지역사회와 건강
    - WHO 건강 정의와 제한점
    - Smith(1981)의 건강모형
    - 건강결정 요인
    - 건강-질병의 연속성과 질병 예방 수준
    - 건강형평성
    - 건강도시

    Ⅻ. 지역사회간호와 문화적 다양성
    - 다문화주의
    - 다문화의 현황과 문제점
    - 지역사회와 다문화간호

    ⅩⅢ. 취약가족(vulnerable family)과 간호
  • 키워드

    • # 지역사회 보건간호
    • # 건강증진
    • # 문화적 다양성
    • # 일차보건의료
    • # 취약가족
  • 참고자료

  • 해당 학술지 정보는 원문을 재가공하여 기재되었으며, 원문의 내용과 상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