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왕절개 수술 후 간호진단과 통합적 관리 접근: 급성통증, 출혈위험성, 신체 기동성 장애를 중심으로
Nursing Diagnosis and Integrated Management Approach after Cesarean Section: Focusing on Acute Pain, Hemorrhage Risk, and Physical Mobility Disorder
nurse777
- 임상 의과학 진보
- 2025
- 제 2권 4호
- pp.1351-1384
-
초록
본 연구는 제왕절개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급성통증, 자궁퇴축부전으로 인한 출혈위험성, 신체 기동성 장애에 대한 포괄적인 간호진단과 관리 전략을 제시한다. 각 간호진단별로 사정, 진단, 목표, 계획, 수행, 평가의 체계적인 접근을 통해 환자의 효과적인 회복과 합병증 예방을 도모한다. 연구 결과, 맞춤형 간호중재는 통증 관리, 출혈 예방, 기동성 회복에 유의미한 긍정적 효과를 나타냈으며,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회복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This study presents a comprehensive nursing diagnosis and management strategy for acute pain, hemorrhage risk due to uterine involution, and physical mobility disorder after cesarean section.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of assessment, diagnosis, goal setting,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for each nursing diagnosis, the study aims to promote effective patient recovery and complication prevention. The results showed that personalized nursing intervention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pain management, hemorrhage prevention, and mobility recovery, playing a crucial role in promoting patien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covery. -
목차
<1> 제왕절개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1) 진단명
2) 진단 설명
3) 주요 원인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 간호계획
(1) 진단적 계획 5개
(2) 치료적 계획 5개
(3) 교육적 계획 7개
2)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근거 5개
(2) 치료적 근거 5개
(3) 교육적 근거 7개
5. 간호수행 17개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7. 결론 및 향후 계획
<2> 자궁퇴축부전과 관련된 출혈위험성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1) 진단명
2) 진단 설명
3) 주요 원인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 간호계획
(1) 진단적 계획 5개
(2) 치료적 계획 5개
(3) 교육적 계획 7개
2)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근거 5개
(2) 치료적 근거 5개
(3) 교육적 근거 7개
5. 간호수행 17개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7. 결론 및 향후 계획
<3> 통증과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1) 진단명
2) 진단 설명
3) 주요 원인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 간호계획
(1) 진단적 계획 5개
(2) 치료적 계획 5개
(3) 교육적 계획 7개
2) 이론적 근거
(1) 진단적 근거 5개
(2) 치료적 근거 5개
(3) 교육적 근거 7개
5. 간호수행 17개
6.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7. 결론 및 향후 계획
<4> <참고문헌> -
키워드
- # 제왕절개
- # 간호진단
- # 급성통증
- # 출혈위험성
- # 신체 기동성 장애
- # 간호중재
-
참고자료
-
해당 학술지 정보는 원문을 재가공하여 기재되었으며, 원문의 내용과 상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