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울지식융합학회

저층 주거지 주차난 완화를 위한 도시기반시설 활용방안 연구-서울시 강북구 일대 빌라 단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Utilizing Urban Infrastructure for Alleviating Parking Shortages in Low-Rise Residential Areas-Focusing on Villa Complexes in Gangbuk-gu, Seoul-
우노
  • 초록

    서울시 저층 주거지역은 고밀·저이용의 물리적 구조와 좁은 도로 환경으로 인해 만성적인 주차난에 직면해 있다. 기존의 대규모 주차장 공급 방식은 부지 확보의 어려움과 낮은 접근성, 주민 수요 불일치 등으로 인해 실효성이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생활권 내 접근이 용이한 '소규모 분산형 주차공간'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Low-rise residential areas in Seoul face chronic parking difficulties due to high-density, low-utilization physical structures and narrow road environments. Existing large-scale parking lot supply methods are limited in effectiveness due to challenges in site acquisition, low accessibility, and misalignment with resident need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small-scale decentralized parking spaces' that are easily accessible within living areas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se practical limitations.
  • 목차

    I.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질문
    1.3 연구 범위 및 방법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2.1 인지지리학(Cognitive Geography) 및 활동 공간(Activity Space) 이론
    2.2 저층 주거지의 개념 및 공간적 특성
    2.3 인지지리학적 관점상 도시기반시설
    2.4 저층 주거지 주차 문제 해결을 위한 선행연구 고찰
    2.5 국내외 소규모 분산형 주차공간 조성 사례
    2.6 기존 연구의 한계 및 본 연구의 차별성

    III. 연구 결과
    3.1 대상지 현황 및 이론적 재해석
    3.1.1 물리적 현황 및 주차 실태
    3.1.2. 주차 공급 능력의 한계
    3.1.3 기반시설 및 유휴공간 분포 특성 분석
    3.2 유형별 소규모 주차공간 적용가능성평가
    3.3 조성 시 고려해야 할 제약 요인 분석
    3.4 효율적 운영 관리를 위한 통합 모델제안

    Ⅳ. 결론 및 정책 제언
    4.1 결론 요약
    4.2 정책 제언
    4.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 제시

    Ⅴ. 참고 문헌
  • 키워드

    • # 저층주거지
    • # 소규모 분산형 주차공간
    • # 도시기반시설
    • # 인지지리학
  • 참고자료

  • 해당 학술지 정보는 원문을 재가공하여 기재되었으며, 원문의 내용과 상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