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이야기: 기독교 인간론에 대한 신학적 탐구
The Human Story: A Theological Exploration of Christian Anthropology
로뎀나무
- 인문사상 담론
- 2025
- 제 2권 9호
- pp.14-28
-
초록
본 논문은 기독교 인간론의 핵심 서사인 '창조-타락-구속'의 틀을 통해 인간의 본질과 존엄성을 탐구한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간이 죄로 인해 겪은 타락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과정을 분석하며, 인간의 존재적 가치와 회복의 의미를 신학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실체적, 관계적, 기능적 관점을 통합적으로 접근하여 하나님의 형상에 대한 다차원적 이해를 제시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essence and dignity of humanity through the theological narrative of 'Creation-Fall-Redemption' in Christian anthropology. It analyzes the human fall due to sin and the process of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examining the existential value and meaning of restoration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By integrating substantive, relational, and functional viewpoints, it presents a multidimensional understanding of the image of God. -
목차
서론
•근본적인 질문: "인간이란 무엇인가?"
•기독교 인간론의 정의와 범위
•핵심 서사: 창조-타락-구속의 틀
제1부: 창조의 영광 -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
•제1장: '하나님의 형상'(Imago Dei)의 성경적 기초
o창세기의 선언: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o창조 세계 안에서 인간의 고유한 위치
o'하나님의 형상'의 기본적 의미
•제2장: 하나님의 형상을 이해하는 세 가지 관점
o실체적 관점(The Substantive View): 내재적 속성으로서의 형상
o관계적 관점(The Relational View): 관계 맺는 능력으로서의 형상
o기능적 관점(The Functional View): 소명으로서의 형상
o통합적 이해: 세 관점은 어떻게 서로를 보완하는가
제2부: 타락의 비극 - 죄의 실체
•제3장: 본래의 상태와 타락 사건
o원시의(Original Righteousness): 인간의 본래적 상태
o최초의 죄, 그 본질은 무엇인가
•제4장: 원죄 교리
o원죄(Original Sin)란 무엇인가: 행위가 아닌 상태
o전적 타락(Total Depravity)의 올바른 이해
o죄의 전가(Imputation of Sin): 우리는 어떻게 아담의 죄에 동참하게 되었나
•제5장: 죄와 자유의지에 대한 신학적 논쟁
o아우구스티누스 vs. 펠라기우스: 서방 신학의 대논쟁
o종교개혁의 관점: 칼뱅주의와 알미니안주의 비교
제3부: 구속의 소망 - 그리스도 안에서 회복되는 인간
•제6장: 그리스도, 완전한 하나님의 형상
o첫 아담의 실패와 마지막 아담의 승리
o예수 그리스도: 참된 인간성의 계시
•제7장: 구원,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과정
o칭의와 성화: 회복의 법적 측면과 실제적 변화
o그리스도인의 삶의 목표: 그리스도의 형상을 이루는 것
o'이미'와 '아직'의 긴장
결론
•인간 이야기의 요약: 영광에서 비극으로, 그리고 더 큰 영광으로
•현대 사회를 향한 기독교 인간론의 함의
참고문헌 -
키워드
- # 기독교 인간론
- # 하나님의 형상
- # 원죄
- # 구원
- # 인간 존엄성
-
참고자료
-
해당 학술지 정보는 원문을 재가공하여 기재되었으며, 원문의 내용과 상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