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 나라의 완성: 기독교 종말론에 대한 성서적, 신학적 연구
The Fulfillment of God's Kingdom: A Biblical and Theological Study of Christian Eschatology
로뎀나무
- 인문사상 담론
- 2025
- 제 2권 9호
- pp.29-45
-
초록
본 연구는 기독교 종말론을 단순한 미래 사건 예측이 아닌 하나님의 구속 계획의 완성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성경의 주요 본문들을 분석하여 종말론의 핵심이 그리스도의 승리와 하나님 나라의 도래임을 논증한다. 구약과 신약의 예언적 텍스트를 통해 종말론이 두려움이 아닌 희망의 신학임을 보여주며, 현재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실천적 함의를 제시한다.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Christian eschatology not as a mere prediction of future events, but as the fulfillment of God's redemptive plan. By analyzing key biblical texts, it demonstrates that the essence of eschatology lies in Christ's victory and the coming of God's kingdom. Through prophetic texts of the Old and New Testaments, it shows that eschatology is a theology of hope, not fear, and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Christians living in the present. -
목차
1. 서론: 희망의 신학이자 하나님의 약속 성취로서의 종말론
•'종말'을 넘어선 종말론 정의
•하나님 나라: 종말론의 핵심 주제
2. 제1부: 종말론적 희망의 성서적 기초
•1.1 구약의 예언적 지평 (다니엘 7장 & 12장)
o다니엘 7장의 '인자 같은 이'와 영원한 나라
o다니엘 12장의 '환난의 때'와 죽은 자의 부활
•1.2 감람산 강화: 시대의 종말에 대한 예수님의 선포 (마태복음 24-25장)
o성전 파괴(AD 70)와 파루시아의 관계 해석
o"이 세대"의 의미
o깨어 있으라는 비유들 (마태복음 25장)
•1.3 바울의 종말론: 주의 날과 신자의 소망 (데살로니가전서 & 후서)
o부활과 '휴거'의 본질 (살전 4장)
o주의 날 (살전 5장)
o불법에 대한 대항: '불법의 사람' (살후 2장)
•1.4 요한계시록: 우주적 승리의 환상
o묵시 문학 해석
o죽임 당하신 어린 양: 해석의 열쇠이신 그리스도의 승리
o최후의 전투, 심판, 그리고 새 예루살렘
3. 제2부: 마지막 일들의 신학적 구조
•2.1 왕의 귀환: 파루시아의 본질과 확실성
o그리스도의 영광스러운 나타나심의 의미
o'이미와 아직': 시작된 종말론의 긴장 속에서 살아가기
•2.2 백보좌: 최후 심판과 하나님의 공의
o심판자, 피심판자, 그리고 심판의 기준
o하나님의 의의 변호와 상급 교리
•2.3 완성된 나라: 새 하늘과 새 땅
o새로워진 창조: 저주의 역전
o새 예루살렘: 인류와 함께하시는 하나님의 처소
•2.4 천년왕국설의 이해
o비교 분석
4. 제3부: 예수 그리스도: 종말론의 알파와 오메가
•3.1 예언의 성취자이신 그리스도
•3.2 하나님 나라의 시작자이신 그리스도
•3.3 다시 오실 왕이요 최종 심판주이신 그리스도
•3.4 새 창조의 중심이신 그리스도
5. 제4부: 종말론적 희망의 선포
•4.1 종말론 설교: 두려움과 추측에서 희망과 거룩으로
o그리스도 중심적, 구속사적 접근의 원리
o효과적인 종말론 설교는 본질적으로 제자도 형성 훈련이다
•4.2 설교 모델: 종말론적 희망에 대한 설교 구성
o본문 선택, 주제 개발, 그리고 적용
o'아직'을 '이미'에 연결하기
6. 결론: 현 시대 속에서 종말론적 백성으로 살아가기 -
키워드
- # 종말론
- # 하나님 나라
- # 그리스도의 재림
- # 성경 해석
- # 희망의 신학
-
참고자료
-
해당 학술지 정보는 원문을 재가공하여 기재되었으며, 원문의 내용과 상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