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 발달의 동력: '동화'(Assimilation)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
The Driving Force of Cognitive Development: A Psychological Exploration of 'Assimilation'
로뎀나무
- 교육혁신 정책학
- 2025
- 제 2권 9호
- pp.11-23
-
초록
본 연구는 장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에서 핵심 개념인 '동화'의 심리학적 메커니즘과 그 발달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동화는 개인이 새로운 정보와 경험을 기존의 인지 구조인 스키마에 통합하는 근본적인 인지 과정으로, 인지적 안정성과 효율성을 추구하는 보수적 메커니즘이면서 동시에 조절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지적 성장을 촉진하는 역동적 과정이다. 연구는 발달 단계별 동화의 양상, 교육적 함의, 사회심리학적 관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며, 피아제 이론의 한계와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접근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psychological mechanism and developmental significance of 'assimilation', a core concept in Jean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Assimilation is a fundamental cognitive process where individuals integrate new information and experiences into existing cognitive structures (schemas), representing a conservative mechanism pursuing cognitive stability and efficiency, while simultaneously promoting cognitive growth through interaction with accommodation. The research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manifestations of assimilation across developmental stages,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ocio-psychological perspectives, critically examining the limitations of Piaget's theory and Vygotsky's sociocultural approach. -
목차
1. 서론: 인지 발달의 핵심 기제로서의 동화
2. 동화의 이론적 토대: 스키마와 인지 구조
3. 동화와 조절의 역동적 상호작용
4. 발달 단계에 따른 동화의 역할과 양상
5. 동화 개념의 확장 및 비판적 고찰
6. 결론: 세상을 이해하는 틀, 동화의 재조명
7. 참고문헌 -
키워드
- # 인지 발달
- # 동화
- # 스키마
- # 피아제 이론
- # 인지 심리학
-
참고자료
-
해당 학술지 정보는 원문을 재가공하여 기재되었으며, 원문의 내용과 상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