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울지식융합학회

기능사정도구 MBI 및 K-MBI의 이해와 임상적 적용

Understanding and Clinical Application of Functional Assessment Tools MBI and K-MBI
봄누리
  • 초록

    본 연구는 일상생활수행능력(ADL) 평가도구인 MBI와 K-MBI의 정의, 특성, 점수체계, 임상적 활용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MBI는 1989년 Shah 등에 의해 개발된 글로벌 표준 평가도구로, 10개 항목에 대해 5단계 척도로 환자의 독립성을 평가한다. K-MBI는 한국의 문화적, 의료적 맥락에 맞게 수정된 버전으로, 원본 MBI의 구조와 점수체계를 유지하면서 한국인의 생활양식을 반영한다. 총점 100점 기준으로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0-24점(완전 의존)부터 100점(완전 독립)까지 세분화하여 평가한다.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definition, characteristics, scoring system, and clinical application of ADL assessment tools MBI and K-MBI. MBI, developed by Shah et al. in 1989, is a global standard evaluation tool that assesses patient independence using a 5-stage scale across 10 items. K-MBI is a version modified to suit Korean cultural and medical contexts, maintaining the original MBI's structure and scoring system while reflecting Korean lifestyle. It evaluates daily living performance on a 100-point scale, ranging from 0-24 points (complete dependence) to 100 points (complete independence).
  • 목차

    1. MBI 검사의 정의 및 특성

    2. 바델지수(BI)/ 수정바델지수(MBI)/한국형 수정바델지수(K-MBI)의 비교

    3. 수정바델지수(MBI)와 한국형 수정바델지수(K-MBI)의 비교분석

    4. 한글판 수정 바델지수(K-MBI)점수체계

    5. 수정판 바델 지수의 일반적인 사용지침

    6. 점수 척도에 따른 수행 가능 정도

    7. 참고 문헌
  • 키워드

    • # MBI
    • # K-MBI
    • # 일상생활수행능력
    • # 기능평가
    • # 재활의학
    • # 의료평가도구
  • 참고자료

  • 해당 학술지 정보는 원문을 재가공하여 기재되었으며, 원문의 내용과 상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