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한국의 관세협상 의의와 한국경제에 미칠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Significance of US-Korea Tariff Negotiations and Its Impact on the Korean Economy
시마이
- 산업경영 경제전략
- 2025
- 제 2권 9호
- pp.220-231
-
초록
본 연구는 2025년 7월 30일 한미 간 이루어진 관세협상의 배경, 과정, 결과 및 한국 경제에 미치는 단기·장기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정책 하에서 25%에서 15%로 관세율을 낮추고, 조선업 중심의 1,500억 달러 규모 협력 펀드를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 그러나 0% 관세 혜택 상실, 대미 투자 부담 등 장기적 도전 과제도 존재한다. 연구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에서 한국의 전략적 위상 변화와 산업구조 고도화 가능성을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background, process, results, and short-term and long-term impacts of the US-Korea tariff negotiations on July 30, 2025. Under the Trump administration's reciprocal tariff policy, the tariff rate was reduced from 25% to 15%, and a new growth engine was secured through a $150 billion cooperation fund centered on the shipbuilding industry. However, long-term challenges such as the loss of 0% tariff benefits and the burden of US investment also exist. The study explores in depth the changes in Korea's strategic position and the potential for industrial structure advancement within the global supply chain reorganization. -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정책 배경과 특징
2. 한미 관세협상의 진행 과정과 주요 쟁점
3. 한미 관세협상 타결의 주요 내용과 성과
4. 한국 경제에 미치는 단기적 영향 분석
5. 한국 경제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과 구조적 변화
6. 산업별 파급효과와 대응 전략
Ⅲ. 결론
Ⅳ. 참고문헌 -
키워드
- # 한미 관세협상
- # 상호관세
- # 글로벌 공급망
- # 조선업
- # 산업구조 고도화
-
참고자료
-
해당 학술지 정보는 원문을 재가공하여 기재되었으며, 원문의 내용과 상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