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울지식융합학회

소년법 폐지 문제: 죄수의 딜레마 게임이론을 중심으로

The Juvenile Law Abolition Issue: A Game Theoretical Analysis through the Prisoner's Dilemma
로뎀나무
  • 초록

    본 연구는 소년법 폐지 논쟁을 게임이론의 죄수의 딜레마 모델을 통해 분석하여, 현재 소년법 시스템의 구조적 한계와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사회와 소년범 간의 전략적 상호작용을 게임이론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단순한 감정적 대립을 넘어 상호 협력과 신뢰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다. 로버트 액설로드의 팃포탯 전략을 적용하여, 처벌과 교화의 이분법을 극복하고 소년범죄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안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juvenile law abolition debate through the prisoner's dilemma model of game theory, exploring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current juvenile law system and potential solutions. By examining the strategic interactions between society and juvenile offenders from a game theoretical perspective, it goes beyond emotional confrontation to propose a new approach based on mutual cooperation and trust. By applying Robert Axelrod's Tit-for-Tat strategy, the study suggests policy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dichotomy of punishment and rehabilitation, aiming for a fundamental resolution of juvenile crime issues.
  • 목차

    Ⅰ. 서론

    Ⅱ. 소년법의 이해: 보호와 처벌의 경계
    1. 소년법의 정의와 입법 취지: 교화주의 이념
    2. 대한민국 소년법의 현황과 주요 내용
    3. 소년법을 둘러싼 핵심 쟁점: 흉포화, 재범률, 그리고 국민 법감정

    Ⅲ. 분석 틀로서의 게임이론과 죄수의 딜레마
    1. 게임이론의 기본 개념: 합리적 행위자와 전략적 상호작용
    2. 죄수의 딜레마: 개인의 합리성이 초래하는 집단의 비극

    Ⅳ. 소년법 딜레마의 게임이론적 분석
    1. 행위자 정의: 소년범과 사회
    2. 1회성 게임으로서의 소년법: '배신'의 유혹과 상호 불신
    3. 반복 게임으로서의 소년법: '협력'의 진화 가능성과 '팃포탯(Tit-for-Tat)' 전략의 적용

    Ⅴ. 딜레마 극복을 위한 협상과 정책적 제언
    1. 처벌과 교화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전략적 접근
    2. 신뢰 구축을 위한 사회 시스템 설계: '선(先) 협력, 후(後) 보복과 용서'

    Ⅵ. 결론

    Ⅶ. 참고문헌
  • 키워드

    • # 소년법
    • # 게임이론
    • # 죄수의 딜레마
    • # 팃포탯 전략
    • # 범죄 예방
    • # 사법 정책
  • 참고자료

  • 해당 학술지 정보는 원문을 재가공하여 기재되었으며, 원문의 내용과 상이할 수 있습니다.